top of page

Archive: Choi Myoungyoung "Conditional Planes"

09.01 - 10.11.2022

한국 단색화는 어느 날 갑자기 다가온 개념이 아니다. 회화의 본질이 무엇인가라는 중대한 질문 아래 회화 형식의 자기만의 방법을 획득해온 지난한 과정의 결과였다. 사물과 화가의 존재론적 관계에 집중해온 일본 모 노파(物派, Monona)와 다르며, 산업공정을 예술계에 도입하여 물질과 세계에 대한 새로운 태도를 제시했던 서구 미니멀리즘과도 다르다. 최명영 작가는 미술을 영위하는 작가의 사명은 어디에 있는가라는 질문, 회화의 본령이 무엇인가라는 질문, 물질과 정신의 이원적 구분이라는 고질적 문제를 어떠한 회화적 방법론으로 극복하느냐는 질문으로부터 대전제를 세웠다.

     

「평면조건」은 최명영 작가가 1970년대 중반부터 지속하고 있는 작업명제로서 자신만의 독립적인 회화적 실존을 파악하기 위한 장구한 여정이었다. 최명영 작가는 1970년대부터 전통 회복에 대한 자성을 시작했으며, 한국의 풍토(사계절), 동양적 사유와 유교적 절제, 소박한 생활철학 등을 평면작업에 투사하기 시작했다.


Korean Dansaekhwa did not emerge as a sudden concept. It was the result of a long process of seeking its own painterly language under the fundamental question of what painting truly is. It is distinct from Japan’s Mono-ha, which focused on the ont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and the artist, and from Western Minimalism, which introduced industrial processes to propose new attitudes toward material and the world.

Choi Myoung Young established his premise through questions on the mission of the artist, the essence of painting, and how to overcome the dualistic division of matter and spirit through a painterly methodology.

The Condition of the Plane has been Choi’s working theme since the mid-1970s—a long journey toward his independent painterly existence. From this time, he reflected on the recovery of tradition, projecting into his work Korea’s climate and four seasons, Eastern thought and Confucian restraint, and a humble philosophy of life.

    

Exhibition Gallery

Gallery Bisunjae Logo Black
  • Instagram
  • Whatsapp
  • Line

© BISUNJAE GALLERY.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